여성 경우, 소득 차이가 대사증후군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저소득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생률은 고소득 여성보다 2.7배나 높았다.
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국립보건연구원 박현영 과장(심혈관ㆍ희귀질환과 보건연구관)팀이 2001~2010년 새 추적조사가 완료된 한국인 유전체 역학 조사사업 자료(지역사회 코호트 연구)를 대사증후군의 발생률과 사회ㆍ경제적 수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한국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사회경제적 수준과 대사증후군 발생률의 연관성' 연구 결과는 대한비만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ㆍ고혈압ㆍ당뇨병ㆍ이상지질혈증 등과 같은 질환을 넓게 포함하여 정의된다. 대사증후군의 각 구성요소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이 되기도 한다. 대사증후군의 증가는 비만과 함께 세계적으로 공중보건의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서구형 식습관, 생활양식의 변화, 스트레스, 운동 부족, 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인해 대사증후군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팀은 대사증후군ㆍ당뇨병ㆍ심혈관계 질환 병력 기록이 없는 40~69세 남 2,733명, 여 2,811명으로 총 5,544명을 평균 6년간 추적했다. 이 기간에 남성 864명, 여성 875명이 대사증후군 진단을 받았다. 1,000명당 52~53명이 대사증후군 환자로 새롭게 판정된 것이다.
대사증후군 발생률은 성별론 별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의 학력ㆍ소득 수준별론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여성에 비해 고등학교ㆍ중학교ㆍ초등학교 졸업 학력의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생률이 각각 1.07 배ㆍ1.73배ㆍ1.74배 높았다.
남성에선 학력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률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소득 수준별론 월 가계소득 400만 원 이상의 고소득 여성에 비해 월 가계소득 200만∼399만 원ㆍ100만∼199만 원ㆍ100만 원 미만 순으로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생률은 1.56배ㆍ1.86배ㆍ2.74배 높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국내에서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률이 여성에선 교육ㆍ소득수준이 낮아질수록 증가했다”며 “남성에선 소득수준이 가장 낮은 사람에서만 대사증후군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있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회ㆍ경제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사회ㆍ경제적 수준은 식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지방ㆍ첨가당ㆍ정제 곡류 등이 많이 포함된 저가의 고열량 식품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