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로 생활하는 청년층이 다른 연령층의 1인 가구보다 흡연ㆍ과음 비율이 높고 수면시간이 비정상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성균관대 소비자가족학과 이성림 교수팀이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1인 가구와 다인 가구를 포함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 5,215명을 대상으로 가구 형태별 음주ㆍ흡연 비율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1인 가구의 건강 관련 습관적 소비, 생활시간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비1인 가구와 세대별 비교 중심)'는 대한가정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연구에서 1인 가구로 지내는 20∼30대 청년의 48.1%가 흡연하고 있었다. 이는 다인 가구에 속한 청년이 비흡연(61.9%)ㆍ흡연(24.7%)ㆍ금연(13.5%) 순서인 것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다.
음주에서는 남성 경우 평소 5~6잔 이상, 여성 경우 평소 3~4잔 이상을 주 3회 이상으로 할 때 과음으로 평가했다. 1인 가구로 생활하는 청년의 과음 비율은 전체의 절반을 넘었지만(57.1%) 다인 가구에 속한 청년의 과음 비율은 절반에 못 미쳤다(47.7%). 1인 가구로 지내는 중년은 과음 비율(39.9%)이 절주ㆍ금주 비율보다 높았지만 다인가구에 속한 중년에선 절주 비율이 36.9%로 가장 높았다.
가구 구성원의 수는 수면시간에도 영향을 미쳤다. 1인 가구로 사는 청년은 수면시간의 비정상 비율(51.9%)이 절반 이상이었지만 다인 가구에 속한 청년은 수면시간의 정상 비율(54.1%)이 더 많았다. 반면, 한 가지 흥미로운 결과는 1인가구로 사는 청년은 22.1%가 건강 활동을 해, 다인 가구에 속한 청년의 건강활동 비율(16.4%)보다 오히려 높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1인 가구로 생활하는 사람은 다인 가구에 속한 비슷한 연령대에 비해 건강관리에 소홀한 편이고 전반적으로 신체활동 수준도 낮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