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허리둘레를 키로 나눴을 때 0.5 이상을 넘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두 배 이상 큰 것으로 밝혀졌다. 0.5를 넘으면 고중성지방혈증ㆍ높은 공복 혈당을 가질 가능성도 더 커진다.
1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인하대병원 가정의학과 이연지 교수팀이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과체중 성인 남녀 3,925명을 대상으로 허리둘레/신장비율과 대사성 위험요인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과체중인 한국 성인에 있어 허리둘레ㆍ신장비와 대사성 위험요인들과의 연관성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연구 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연구에서 허리둘레/신장비가 0.5 이상인 사람(비만)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0.5 미만인 사람보다 2.6배 높았다. 허리둘레/신장비가 0.5 이상인 사람은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각종 지표도 대부분 나쁘게 나왔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체질량지수(BMI)는 BMI 23 미만인 정상 체중인과 BMI 25 이상인 비만한 사람에게선 각종 비만 관련 질환의 유병률과 분명한 연관성을 보인다”며 “BMI가 23∼25 미만인 과체중인 사람에게선 비만 관련 질환과의 연관성이 잘 드러나지 않거나 때때로 정반대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BMI가 높을수록 반드시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대규모 연구에서도 BMI가 23.2로 과체중에 속하는 사람의 사망률이 최저를 기록했다. 이를 비만의 역설(obesity paradox)이라고 부른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비만 관련 질환을 예측하는 지표로 BMI는 한계가 있다”며 “자신의 허리둘레/신장비를 알면 대사증후군 등 대사성 질환의 발생 위험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도 허리둘레/신장비가 BMI 등 다른 비만 지표보다 만성질환과 심혈관 대사질환 예측에 더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