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이른둥이, 칠삭둥이 등으로 불리는 임신 37주 전에 태어나는 조산아 출생률이 16년이 흐르는 동안 거의 두 배나 늘어났다고 공주대 보건행정학과 임달오 교수팀은 전했다. 특히 쌍둥이 등 다태아의 경우 절반 이상이 조산아였다.
1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연구팀이 통계청의 약 129만 건의 1997∼98년과 2013∼14년의 약 85만 건으로 출생통계 원시 자료를 바탕하여 산모의 뱃속에 몇 명의 아이가 들어 있는지에 따른 조산아 출생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우리나라 단태아 및 다태아에서 임신 기간별 세분된 조기 분만율의 변화 추이: 1997-98, 2013-14'는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아기의 성(性)ㆍ산모의 출산 연령ㆍ아기의 출생 순위ㆍ부모의 교육수준 등 각종 변수를 고려해 분석한 결과 16년 사이 단태아의 조기 분만율은 1.57배, 다태아의 조기 분만율은 2.71배 늘었다”며 “단태아보다 다태아에서 조기 분만율이 더 빠르게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조사 결과, 임신 36주 이하의 조기 분만율이 1997~98년 3.31%에서 2013∼14년에 6.44%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이 기간에 단태아의 조기 분만율은 2.89% → 4.66%, 쌍둥이 등 다태아는 32.37% → 56.72%로 증가했다. 국내 다태아 출생률은 16년 새 2.4배나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997∼98년 1.4%에서 2013∼14년 3.4%로 증가했다. 전체 조산아의 78%는 후기 조기 분만(임신 34∼36주에 출산)이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단태아보다 다태아가 조산아가 될 가능성이 훨씬 높고 그 증가 속도도 빨랐다”며 “국내에서 다태아 출생률이 지속해서 증가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다태 임신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산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잘 갖춰져야 한다”고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특히 임신 34∼36주에 아기를 낳는 후기 조기 분만을 막기 위한 예방 및 관리를 생각한 대처법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한편, 금연, 자궁경부봉합술, 황체호르몬 요법 제한, 시험관아기시술 시 이식 배아수 제한, 유도분만ㆍ제왕절개시술 억제 등이 조산아 출생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