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위로위로 홈

국토부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10분내로 파악”

등록일 2020.03.25 14:11 youtube instagram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쪽지신고하기 URL복사 공유하기


▲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사진=픽사베이

 

[개근질닷컴] 24시간 이상 걸리던 코로나19 확진자의 이동경로 분석 시간이 10분 이내로 대폭 축소된다. 스마트도시 기술을 적용한 분석 도구가 활용되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26일 가동한다고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대규모 도시 데이터를 수집·처리하는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기술을 활용해 역학조사 절차를 자동화한다.

 

확진자의 신용카드 사용정보와 휴대전화 위치추적 등 동선과 관련된 정보를 전산망을 통해 빠르게 파악함으로써 조사에 드는 시간을 대폭 축소할 수 있게 됐다. 이를 위해 경찰청, 여신금융협회, 3개 통신사, 22개 신용카드사 간 협력체계가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확진자 이동동선과 시간대별 체류지점을 자동으로 파악하고, 대규모 발병지역(핫스팟)을 분석해 지역 내 감염원 파악 등 다양한 통계분석도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역학조사원이 경찰청이나 여신금융협회 등 관계 기관에 공문을 접수하고, 유선상으로 정보를 일일이 파악해야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 초기에 평균 하루 이상이 소요됐던 이동동선 도출 등 역학조사 분석 시간이 10분 이내로 줄어들어, 역학조사관의 업무 부담이 줄어들고 대규모의 확진자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더욱 민첩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시스템을 통해 확진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감염병예방법’상 감염병 위기상황에서 정확한 역학조사를 위해 공공이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한 규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시스템 및 정보 접근은 필수 최소인원에 한해서만 허용하고, 담당자의 역할에 따라 권한을 엄격하게 구분된다.

 

정보의 열람과 분석은 질병관리본부와 지자체 역학조사관만 할 수 있으며, 다른 정부기관은 일체의 접속 및 활용이 불가능하게 설계됐다.

 

이 시스템은 코로나19 상황이 끝날 때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고, 이후 시스템이 습득한 개인정보는 파기된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코로나19의 확산방지를 위해 과기부, 질병관리본부, 경찰청, 금융위, 감사원 등 전 부처적인 협업을 통해 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며 “이번 시스템 개발 사례와 같이 국민이 필요로 하는 부분에 스마트시티 기술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성운 (kwon.sw@foodnamoo.com) 기자 
<저작권자(c) 개근질닷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등록 2020-03-25 14:11:35 
권성운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더보기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보디빌딩 연예 스포츠 건강

GGJ 유튜브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핫피플 더보기

커뮤니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