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개근질닷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수기 출입명부에 앞으로는 휴대전화 번호 대신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줄인 ‘개인안심번호’를 적게 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민들이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할 때 안심하고 수기명부를 작성할 수 있도록 19일부터 휴대전화번호를 대체하는 개인안심번호를 도입해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개인안심번호는 여러 사람의 개인정보를 한 데 기록하는 수기명부 특성 때문에 휴대전화번호가 유출돼 방역이 아닌 사적 목적으로 오·남용되는 사례를 막기 위해 도입됐다.
‘12가34나’처럼 숫자 4자리와 문자 2자리 등 모두 6자리로 구성되는 개인안심번호는 휴대전화번호를 무작위로 변환한 문자열로 개인에게 따로 연락할 수 없다.
개인정보위는 “개인안심번호만으로는 전화를 걸거나 문자메시지를 발송할 수 없어 휴대전화번호 유출과 오·남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며 “확진자가 발생하면 방역당국에서만 개인안심번호를 휴대전화번호로 변환해 역학조사를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 사진=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개인안심번호를 사용하려면 네이버·카카오·패스의 QR체크인 화면을 띄워 6자리 번호를 확인하면 된다. 네이버를 쓰다가 카카오를 사용하는 등 발급기관이 달라져도 개인안심번호는 동일하며 한번 발급받으면 코로나19 종식 때까지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발급받은 개인안심번호를 외우거나 따로 기록해두면 매번 QR체크인 화면을 확인할 필요 없이 계속 쓸 수 있다. 개인안심번호 발급이 어려운 경우 이전처럼 휴대전화번호를 기재하면 된다.
개인안심번호는 정부와 시민 개발자들의 협업으로 만들어졌다.
개인정보위에서 수기명부의 휴대전화번호를 대체할 방안을 찾던 중 시빅해킹(시민 개발자들이 정보통신기술 등을 활용해 사회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려는 활동) 모임인 ‘코드포코리아’에서 한글과 숫자 조합으로 구성된 6자리 문자열을 만드는 아이디어로 탄생했다.
지난해 3월 공적마스크앱 개발을 위한 공공데이터 개방을 제안한 바 있는 코드포코리아는 개인안심번호 아이디어와 개발에 필요한 기술까지 공익 목적으로 기부해 정부의 예산 부담도 덜어줬다.
네이버·카카오·패스 등 QR코드 발급기관들도 QR체크인 화면을 통해 개인안심번호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한편, 정부는 스마트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 등도 개인안심번호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에 관련 내용을 포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