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위로위로 홈

전국 시군구 중 비만율 최고·최저 지역은?

등록일 2021.12.28 17:34 youtube instagram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쪽지신고하기 URL복사 공유하기


▲ 사진=픽사베이

 

[개근질닷컴] 전국 시군구 중 비만율이 가장 낮은 곳은 부산 금정구, 가장 높은 곳은 인천 옹진군으로 나타났다. 기초 지자체 중 전국 최고를 기록한 곳의 비만율은 최저인 곳의 거의 두 배였다.

 

청주대 간호학과 김봉정 교수가 2018∼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국 229개 기초자치단체(시·군·구)의 비만율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김 교수는 만 19세 이상 성인의 키·몸무게로 산출한 체질량 지수(BMI)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판정했다. BMI는 자신의 체중(㎏)을 키(m로 환산)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전국 229개 시·군·구의 평균 비만율은 34.1%였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인천 옹진군(45.2%)의 비만율은 가장 낮은 부산 금정구(23.5%)의 거의 두 배였다.

 

일반적으로 성비(性比, 여아 100명 출생 당 남아 수)가 높을수록, 고위험 음주율이 높을수록, 가구소득 300만 원 이상 비율, 실업률, 대중교통 만족도가 낮을수록 비만율이 높았다.

 

여성 100명에 대한 남성 인구수가 많은, 즉 성비가 높은 지역의 비만율이 증가한 것은 남성의 비만율이 여성보다 더 높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농어촌에 해당하는 군(郡) 지역의 비만율(35.8%)이 대도시에 해당하는 구(區) 지역(31.9%)보다 높았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사회·경제적 수준은 비만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며 “상대적으로 빈곤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일수록 건강하지 않은 식사와 신체 활동 부족 가능성이 커 비만율이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중교통의 만족도가 낮을수록 비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하면 걷기 등 일상적인 신체 활동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지역별 비만율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선 지자체별로 비만율이 높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우선 비만 해소 사업대상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며 “고위험 음주율을 낮추고 편리한 대중교통과 걷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시군구 지역별 성인의 비만율 차이 및 영향요인)는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권성운 (kwon.sw@foodnamoo.com) 기자 
<저작권자(c) 개근질닷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등록 2021-12-28 17:34:35 
권성운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더보기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보디빌딩 연예 스포츠 건강

GGJ 유튜브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핫피플 더보기

커뮤니티 더보기